주식을 처음 시작할 때 가장 막막한 것은 용어와 개념입니다.
PER? EPS? 시가총액? 차트를 보면 숫자와 선들이 복잡하기만 하죠.
하지만 기본 개념만 정확히 이해하면, 투자는 한결 명확해지고, 불필요한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주식 초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용어와 개념들을
실전 투자에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. 😊
📌 1. 주식이란 무엇인가요?
주식은 쉽게 말하면 “회사의 일부를 소유하는 권리”입니다.
여러분이 어떤 기업의 주식을 산다는 것은 그 기업의 ‘지분’을 일부 보유한다는 뜻이에요.
기업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주식을 발행하고, 투자자는 그 주식을 사서 향후 가치 상승이나 배당 수익을 기대하게 됩니다.
💰 2. 배당금이란?
배당은 회사가 이익을 냈을 때, 그 수익의 일부를 주주에게 돌려주는 것입니다.
모든 회사가 배당을 하는 것은 아니며, 성장주(예 : 테슬라)는 보통 배당을 하지 않고 그 돈을 다시 사업에 투자합니다.
반면 배당주(예 : KO, P&G, SCHD 등)는 꾸준히 배당을 지급해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📊 3. PER, EPS, PBR : 재무 지표 기본
| 용어 | 뜻 |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 |
| PER (주가수익비율) | 주가 / 주당순이익 | 낮을수록 저평가일 가능성 |
| EPS (주당순이익) | 순이익 / 발행 주식 수 | 기업의 수익성 측정 |
| PBR (주가순자산비율) | 주가 / 주당순자산 | 1보다 낮으면 저평가 판단 기준이 되기도 함 |
이 세 가지는 기업의 내재 가치를 평가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.
📈 4. 시가총액이란?
시가총액 = 주가 x 총 발행 주식 수
시가총액은 ‘그 기업의 시장에서의 덩치’를 나타냅니다.
예 : 애플이 시가총액 3조 달러라면, 그만큼 시장에서 큰 규모로 평가받는다는 의미입니다.
⏳ 5. 장기 투자 vs 단기 투자
- 장기 투자는 기업의 성장과 복리를 기대하며 수년간 보유하는 전략
- 단기 투자(트레이딩)는 기술적 분석을 통해 짧은 기간 수익을 노리는 전략
주식 초보에게는 장기 투자, 특히 ETF를 활용한 지수 투자 전략이 안정적이고 효율적입니다.
🔄 6. ETF는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요?
ETF(상장지수펀드)는 여러 종목을 하나로 묶어 지수처럼 거래되는 상품입니다.
예를 들어, S&P500 ETF는 미국 상위 500개 기업에 한 번에 투자하는 효과가 있습니다.
대표 ETF :
- QQQ : 나스닥 100 추종 (성장 중심)
- SCHD : 고배당 우량주 중심 (배당 중심)
- VOO : S&P 500 지수 추종 (대표시장)
✅ 마무리 : 주식은 '사업의 일부를 소유하는 것'
주식은 단순한 숫자 게임이 아니라, ‘내가 어떤 기업을 믿고 함께 간다’는 철학이 있어야 합니다.
초보일수록 기본을 단단히 다지고, 한 종목에 올인하기보다 분산 투자와 장기 시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감사합니다.
💬 혹시 궁금한 개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. 같이 공부해요 🙌
'경제, 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💸 티스토리 블로그 애드센스 승인 방법과 꿀팁 (2025년 기준) (1) | 2025.04.10 |
---|---|
📱 갤럭시 스마트폰 배터리 오래 쓰는 방법 (4) | 2025.04.09 |
📈 존리 대표가 말하는 진짜 주식 투자|복리, 소비 절제, 부자 되는 습관 (0) | 2025.04.04 |
💰10억을 만드는 시간, 얼마 걸릴까? 실제 S&P500 데이터를 기준으로 본 저축과 복리의 힘 (0) | 2025.04.04 |
네이버 블로그로 월 100만 원 버는 방법 블로그 수익화 전략 (0) | 2025.03.22 |